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임금관리 / 보상(compensation)의 개념과 보상 관리의 중요성

by 작은링링이 2022. 2. 14.

 

1. 보상의 개념

  - 보상(compensation)이란 종업원이 조직에 제공한 노동 서비스에 대한 모든 형태의 대가를 말한다.

  - 보상은 금전적 보상과 비금전적 보상으로 나뉜다.

  - 금전적 보상(financial compensation), 경제적 보상이라고도 불리며, 노동의 대가를 금전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말한다.

  - 금전적 보상은 직접적 보상과 간접적 보상으로 나뉜다.

    * 직접적 보상(direct compensation)은 화폐적 임금으로 받는 보상이다. 화폐적 보상 안에는 기본임금과 인센티브

      임금으로 나뉜다. 

      · 기본 임금(base pay)은 시간급, 일급, 주급, 월급, 연봉 등을 말한다.

      · 인센티브 임금(incentives)은 작업성과 연동된 상여금, 커미션, 스톡옵션등의 성과임음을 말한다.

    * 간접적 보상(indirect compensation)은 화폐의 형태로 직접 제공받는 것은 아니지만 금전적인 성격이 강해

      조직이 금전적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형태를 말한다. 주로 서비스 및 혜택의 형태로 나타난다. 

    * 간접적인 보상의 대표적인 예는 직접적 보상에 포함되지 않는 4대 사회보험, 주택시설 및 금융지원과 같은

      각종 복리후생이 될 수 있다.

  - 비금전적 보상(nonfinancail compensation)은 비경제적 보상이라고도 불리며, 종업원이 직무 그 자체나

    작업의 심리적, 물리적 환경으로부터 얻는 만족을 말한다. 예를 들면 자기개발 기회의 제공, 자율성,

    탄력적 근로시간제, 재택근무 등의 작업장의 유연성이나 쾌적한 작업환경 등이 있다.

 

2. 보상관리

  - 보상관리(compensation management)란, 종업원이 받는 다양한 유형의 보상을 조직 목적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

  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일컫는다.

  - 전통적으로 보상 관리는 대게 임금관리를 의미하는 경우가 잦다.

    (임금 관리에 초점을 두고, 간접적 보상인 복리후생도 폭넓게 포함하는 형태이다.)

  - 금전적 보상은 종업원 입장에서는 노동의 대가로 받는 소득으로서 생계 비용의 주된 원천이며,

    나아가 소득 수준은 종업원의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. 때문에 금전적 보상은

    최대의 관심영역이기도 하다.

  -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도 비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,

  - 종업원에게 미치는 경제적, 심리적 영향을 통해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.

  - 따라서 보상은 조직의 입장에 있어 핵심적인 전략의 영역이다. 왜냐하면 경쟁 시장에서 유능한 인력을 유인하고

    유지하며, 종업원을 동기부여 시켜 조직의 전략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.

 

 

 

 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