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4

임금관리 / 임금관리의 중요성 1. 임금관리의 중요성 - 근로자의 입장 * 임금은 경제적 및 물질적 생활의 원천이 되는 소득으로서, 근로자 자신은 물론이고 부양 가족의 생계 유지 기능이 있다. * 임금은 단순히 근로자의 경제적 생활과 물질적 생활을 풍요롭게 해 줄 뿐만 아니라, 양질의 교육이나 건강 및 문화 생활도 향유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의 질(quality of life)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. * 임금은 근로자의 사회적 욕구와 존경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. 임금을 통해 결혼, 사회활동 등을 원활하게 해 주며 상류사회 진출을 돕기도 한다. 임금 규모에 따라 사회적으로 능력있고 중요한, 성공한 인물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임금은 사회적 욕구와 존경 욕구 충족의 기능을 한다. - 기업의 입장 * 전통적으로 임금은 '.. 2022. 2. 20.
임금관리 / 임금관리의 내용과 목적 1. 임금관리의 내용 - 임금관리(wage & salary management)는 임금을 조직의 목적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을 일컫는다. - 임금은 노사간의 이해대립적인 양면성을 가지고 있으며, 이를 극복해야 한다. - 또한 조직의 목표와 근로자의 욕구(근로자 개인의 목표)를 균형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통해 노사 공존공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가야한다. - 임금관리는 임금수준 관리, 임금체계 관리, 임금형태 관리를 들 수 있다. * 임금수준 관리란, 종업원들에게 제공되는 임금액의 크기와 관련된 것을 말한다. * 임금수준에서는 기업, 종업원, 기타 노동시장 요인 등 각각을 고려하여 기업과 종업원 모두에게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수준이 되도록 결정하는 데 포커스를 맞춘다. 이로써 기업 경쟁력.. 2022. 2. 19.
임금관리 / 임금의 의의 1. 임금은 보상의 형태 면에서 보았을 때 근로자가 제공하는 노동에 대한 대가로 사용자가 지급하는 금전적 보상 및 직접적 보상이다. 2. 임금의 넓은 의미로 기본급/통상임금, 상여금, 각종수당, 커믹션, 인센티브 등을 포함한다. 3. 대한민국 근로기준법 제2조에서는 "임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임금·봉급, 그 밖에 어떠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을 말한다"라고 임금을 규정하고 있다. - '근로의 대가'는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혹은 명령을 받으며 근로를 제공한것에 대한 보상을 의미한다. - '일체의 금품'은 꼭 현금으로 지급되지 않아도 무방하며, 현금, 현품 등 넓은 의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. - 식대, 김장값, 추석 떡값, 월동수당, 체력단련비 등도 임금에 .. 2022. 2. 15.
임금관리 / 보상(compensation)의 개념과 보상 관리의 중요성 1. 보상의 개념 - 보상(compensation)이란 종업원이 조직에 제공한 노동 서비스에 대한 모든 형태의 대가를 말한다. - 보상은 금전적 보상과 비금전적 보상으로 나뉜다. - 금전적 보상(financial compensation), 경제적 보상이라고도 불리며, 노동의 대가를 금전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말한다. - 금전적 보상은 직접적 보상과 간접적 보상으로 나뉜다. * 직접적 보상(direct compensation)은 화폐적 임금으로 받는 보상이다. 화폐적 보상 안에는 기본임금과 인센티브 임금으로 나뉜다. · 기본 임금(base pay)은 시간급, 일급, 주급, 월급, 연봉 등을 말한다. · 인센티브 임금(incentives)은 작업성과 연동된 상여금, 커미션, 스톡옵션등의 성과임음을 말한다. *.. 2022. 2. 14.